정렬
·
자바
정렬은 데이터를 정해진 기준에 따라 배치해 의미 있는 구조로 재설정하는 것을 말한다.정렬 알고리즘평균 시간복잡도정의안정성퀵 정렬O(nlogn)기준이 되는 pivot 값을 선정해 해당 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할하며 정렬하는 방식❌병합 정렬O(nlogn)정렬된 부분 집합들을 병합하며 전체 데이터를 정렬하는 방식✅힙 정렬O(nlogn)힙 자료구조를 이용해 가장 큰 값(또는 가장 작은 값)을 차례로 꺼내며 정렬하는 방식❌삽입 정렬O(n²)정렬된 영역에 데이터를 하나씩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며 정렬하는 방식✅계수 정렬O(n+k)데이터의 값을 인덱스로 활용해 등장 횟수를 기록하며 정렬하는 방식✅버블 정렬O(n²)인접한 데이터를 비교하고, swap 연산을 수행하며 정렬하는 방식✅선택 정렬O(n²)전체 데이터 중 가장..
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🔥 함수(메서드)
·
자바
함수(메서드)배열 비교하기🗒️ 이 문제에서 두 정수 배열의 대소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.두 배열의 길이가 다르다면, 배열의 길이가 긴 쪽이 더 큽니다.배열의 길이가 같다면 각 배열에 있는 모든 원소의 합을 비교하여 다르다면 더 큰 쪽이 크고, 같다면 같습니다.두 정수 배열 arr1과 arr2가 주어질 때, 위에서 정의한 배열의 대소관계에 대하여 arr2가 크다면 -1, arr1이 크다면 1, 두 배열이 같다면 0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class Solution { public int solution(int[] arr1, int[] arr2) { int len1 = arr1.length, len2 = arr2.length; int su..
김영한의 자바 입문에서 배운 내용 정리
·
자바
변수자주 사용하는 변수 타입 정리정수 - int, long실수 - double불리언 - boolean문자열 - String자바 네이밍 컨벤션클래스대문자로 시작PascalCase명사메서드소문자로 시작camelCase동사 또는 동사+명사 조합변수소문자로 시작camelCase명사상수모두 대문자단어 사이에 밑줄(_) 사용 패키지모두 소문자 인터페이스대문자로 시작PascalCase명사 또는 형용사 연산자자주 사용하는 연산자 정리산술 연산자+(더하기)-(빼기)*(곱하기)/(나누기)%(나머지)증감 연산자++a(전위 증감 연산자): 증감 연산이 먼저 수행된 후 나머지 연산 수행a--(후위 증감 연산자): 다른 연산이 먼저 수행된 후 증감 연산 수행비교 연산자==: 동등성!=: 불일치>: 크다: 작다>=: 크거나 같다..
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🔥 리스트(배열)
·
자바
리스트(배열)길이에 따른 연산🗒️ 정수가 담긴 리스트 num_list가 주어질 때, 리스트의 길이가 11 이상이면 리스트에 있는 모든 원소의 합을 10 이하이면 모든 원소의 곱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class Solution { public int solution(int[] num_list) { int result = (num_list.length a * b) : Arrays.stream(num_list).sum(); }}.stream().reduce(초깃값, (누적값, 현재값) -> 계산식)스트림의 여러 요소를 하나의 결괏값으로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메서드 배열 만들기 1🗒️ 정수 n과 k가 주어졌을 때, 1 이상 n ..
지삐띠니야 메서드 알려줘
·
자바
리스트 메서드 알려줘List list = new ArrayList();// 리스트 끝에 요소 추가list.add(10); // [10]list.add(20); // [10, 20]// 특정 인덱스에 요소 삽입list.add(1, 15); // [10, 15, 20]// 인덱스 위치 요소 제거list.remove(0); // [15, 20]// 해당 값과 같은 첫 번째 요소 제거list.remove(Integer.valueOf(20)); // [15]list.add(30); ..
프로그래머스 코딩 기초 트레이닝 🔥 조건문 / 반복문
·
자바
조건문수 조작하기 1🗒️ 정수 n과 문자열 control이 주어집니다. control은 "w", "a", "s", "d"의 4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으며, control의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문자에 따라 n의 값을 바꿉니다."w": n이 1 커집니다."s": n이 1 작아집니다."d": n이 10 커집니다."a": n이 10 작아집니다.위 규칙에 따라 n을 바꿨을 때 가장 마지막에 나오는 n의 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class Solution { public int solution(int n, String control) { char[] arr = control.toCharArray(); for (char c : arr) { ..